<1 경관계획의 개요>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p.3
2. 계획의 범위 p.4
3. 계획의 성격 p.5
4. 계획의 구성 p.6
<2 경관현황조사 및 분석>
1. 경관자원조사 및 분석의 개요 p.9
2. 부여군 일반현황 p.10
3. 광역경관자원조사 및 분석 p.22
4. 유형별 경관현황분석 p.26
4.1. 산림녹지경관 p.26
4.2. 수변경관 p.29
4.3. 농촌경관 p.32
4.4. 시가지경관 p.35
4.5. 도로·철도경관 p.38
4.6. 역사문화경관 p.41
5. 경관구조 분석 p.48
6. 경관의식조사 p.49
7. 경관법규 및 계획 p.59
7.1. 관련 법규 p.59
7.2. 관련 계획 p.64
8. 유사 사례 p.80
9. 현황종합분석 p.84
<3 경관기본구상>
1.경관매리상 p.89
1.1. 부여경관의 정체성 p.89
1.2. 부여경관의 비전 p.93
1.3. 기본방향 및 원칙 p.95
2. 목표 및 전략 p.97
3. 경관구조 p.99
3.1. 설정기준 p.99
3.2. 경관권역 p.100
3.3. 경관축 p.102
3.4. 경관거점 p.104
3.5. 경관특화전략 대상지 p.106
3.6. 경관종합구상 p.107
<4 경관기본계획>
1. 기본방향 p.111
2. 경관권역 계획 p.112
2.1. 기본 방향 p.112
2.2. 백제역사문화경관권역 p.113
2.3. 자연휴양경관권역 p.119
2.4. 농촌체험경관권역 p.124
3. 경관축 계획 p.129
3.1. 기본방향 p.129
3.2. 산림경관축 p.130
3.3. 수변경관축 p.134
3.4. 도로·철도경관축 p.142
4. 경관거점 계획 p.154
4.1. 기본방향 p.154
4.2. 산림녹지경관거점 p.155
4.3. 수변경관거점 p.157
4.4. 역사문화경관거점 p.160
4.5. 관문경관거점 p.168
5. 중점경관관리구역 계획 p.172
5.1. 기본 방향 p.172
5.2. 중점경관관리구역 계획 p.176
6. 경관지구 계획 p.193
6.1. 경관지구 현황 p.193
6.2. 경관지구 관리계획 p.200
7. 중요 경관자원 관리계획 p.212
7.1. 경관특화계획 p.212
7.2. 조망점 p.224
8. 주요 경관위해요소 관리계획 p.252
8.1. 개요 p.252
8.2. 송전탑 관리계획 p.253
8.3. 농촌마을 관리계획 p.254
<5 실행계획>
1. 실행계획 개요 p.261
2. 경관관련 지역·지구 및 구역 등의 적용 및 연계방안 p.262
3. 경관조례의 개정에 관한 사항 p.264
4. 지구단위계획 등 관련계확과의 연계방안 p.276
5. 경관사업 p.278
5.1. 기본 방향 p.278
5.2. 경관사업의 선정 p.280
5.3. 단기 경관사업 p.282
5.4. 중장기 경관사업 p.286
6. 경관협정
6.1. 경관협정의 개념 p.297
6.2. 경관협정 운영방안 p.301
6.3. 경관협정 시범사업 p.303
6.4. 경관협정 사례 p.304
6.5. 경관협정(안) 예시 p.306
7. 경관관련 자문 및 심의에 관한 사항 p.308
7.1. 경관심의 및 자문대상 p.308
7.2. 경관위원회 p.309
8. 실행계획 p.311
8.1. 경관행정조직 p.311
8.2. 경관가치 인식확산 p.312